inno.N, 보로노이와 글로벌 항암신약 개발 착수
2021. 2. 15
inno.N, 보로노이와 글로벌 항암신약 개발 착수
- 암 유발 유전자 활동 막는 ‘선택적 RET 저해제’ 계열…보로노이社에서 도입
- 바이오마커(체내 지표) 기반 맞춤형 표적 항암제… 22년 글로벌 임상 진입 목표
사진. 왼쪽 inno.N BI, 오른쪽 보로노이 CI
글로벌 바이오헬스기업 inno.N이 신약연구개발 전문기업 보로노이와 손잡고 글로벌 항암신약 개발에 나선다. 해당 항암제 계열은 전세계에 단 두 개 제품만 나온 차세대 계열인데다 2026년 약 2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유망 시장이다. inno.N은 글로벌 항암신약 개발을 핵심 성장동력으로 삼고 최근 보로노이에서 신약 물질을 도입했다. 2022년 글로벌 임상시험 진입을 목표로 이 물질을 세계 시장에서 경쟁할 대표 신약 파이프라인 중 하나로 키울 계획이다.
inno.N이 도입한 항암신약 물질 ‘VRN061782’는 ‘선택적 RET(Rearranged during transfection)인산화효소 저해제’계열이다. 체내 신호전달 물질인 인산화효소 중 ‘RET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켰거나 다른 유전자와 결합해 암이 생긴 경우 이 유전자의 활동을 억제하는 원리다.
inno.N은 RET유전자 융합 또는 변이를 가진 폐암 및 갑상선 암을 포함하여 암의 위치에 상관없이 체내 지표(바이오마커)가 같은 암 세포만 선택적으로 공략하는 맞춤형 표적 항암제로 개발할 계획이다. 항암 효력 및 내성 극복, 안전성 등 차별성을 갖춘 계열 내 가장 우수한 항암신약(Best in class)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기존에는 RET유전자 문제로 암이 생긴 경우 이에 맞는 치료제가 없어 문제의 원인인 RET유전자뿐만 아니라 다른 유전자도 공격하는 ‘비선택적 인산화효소 치료제’가 대체재로 쓰였다. 그러나 낮은 약물 반응률과 부작용 문제 때문에 최근 릴리 셀퍼카티닙, 로슈 프랄세티닙처럼 RET유전자 활동만 억제하는 ‘선택적 RET 저해제’ 계열의 항암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VRN061782는 비임상 동물시험에서 기존에 나온 동일 계열 경쟁약물보다 약물 내성에 대한 높은 반응을 보인 것이 특징이다. 또 특정 유전자만 선택해 공격함으로써 우수한 심혈관 안전성이 확인됐다.
inno.N 강석희 대표는 “보로노이의 우수한 신약후보물질 탐색 연구 역량과 inno.N의 신약개발 역량이 좋은 시너지를 내 글로벌 항암제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는 것이 목표”라며 “활발한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다양한 질환 분야의 파이프라인을 확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보로노이 김대권 대표는 “풍부한 임상 개발 역량을 지닌 inno.N과 파트너쉽을 구축하게 되어 기쁘다”며 “이번 파트너쉽을 통해 보로노이가 독자 구축한 디스커버리 플랫폼인 VORONOMICS®(보로노믹스)의 우수성을 입증했다”고 덧붙였다.
inno.N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을 개발,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육성한 경험을 발판 삼아 차세대 글로벌 신약을 개발 중이다. 암, 자가면역, 감염, 소화, 간질환 분야를 중심으로 20여 개의 신약 및 바이오의약품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에 보로노이에서 도입한 항암신약물질은 inno.N의 핵심 항암 파이프라인 중 하나다.
보로노이는 2015년 설립된 국내 신약개발 전문 회사로, 글로벌 수준의 인산화효소 (Kinase) 프로파일링 데이터베이스와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선택적 인산화효소 저해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발굴하는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끝)
[참고]
#인산화효소란?
- 세포내 신호 전달의 핵심 요소. 인체 내에는 EGFR, RET 등 4-500가지의 인산화효소가 있음. 특정 인산화효소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잘못된 신호 전달로 인하여 암과 같은 질병이 발생하므로, 각 인산화효소 돌연변이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항암제 개발이 주목 받아옴.
- RET유전자는 신경능의 발달과 분화에 관여하는 세포내 신호 전달인자임. RET 유전자의 돌연변이나 융합 등의 변이를 일으키면 암을 유발하기 때문에 종양 유전자 (proto-oncogene)로도 분류됨. RET의 변이는 갑상선암, 비소세포폐암, 췌장암, 유방암, 대장암 환자 등에서 암의 원인으로 지목돼왔음.
#치료제 현황
- RET유전자 변이로 암이 발병한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가 개발돼있지 않아 그간 카보잔티닙 (Cabozantinib) 및 반데타닙(Vandetanib)과 같은 ‘비선택적 인산화효소 저해제’를 사용해옴. 이 약물들은 RET에 대한 낮은 선택성으로 인해 심혈관 부작용 및 간독성 등의 단점과 함께 낮은 치료반응률로 인해 제한적으로 사용됨.
- RET유전자의 활동을 집중적으로 제어하는 원리인 ‘선택적 RET 저해제’ 계열이 나타남. 릴리 셀퍼카티닙(제품명: 레테브모), 로슈 프랄세티닙(제품명: 가브레토)이 2020년 미FDA 승인을 받음. 이 중 릴리의 셀퍼카티닙은 2021년 2월 국내에 희귀의약품으로 허가를 받았음.
#글로벌 시장조사 자료 출처 및 연도
제약산업 분석전문업체 Evaluate사의 2020년 7월자 분석결과에 따르면, 릴리의 셀퍼카티닙과 로슈의 프랄세티닙은 2026년 각각 1.3조원 및 0.8조원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예측되었음